저의 이름에 왜 이중 자음이 아닌지 언어를 보면 한국 중국 일본이 훈민정음 창제 이전 수준으로 의미 글자인 중국의 한자를 사용했습니다. 재미 있는 것은 같은 한자를 둘러싼 한국 중국 일본이 다르게 읽습니다. 다른 소리는 각 민족이 다른 언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원래 한자를 그대로 보관하는 나라가 한국에서 중국은 생각 자체를 일본도 간분 자체의 형태로 변화시키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리를 분석하고 보면 이것이 한국어인지를 쉽게 이해할 부분이 있습니다. 순 한국어는 이중 자음을 써서 이는 중국어나 일본어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특징입니다. 예컨대” 밝은 달”의 ” 밝은 “,” 낡은 옷”의 ” 낡은 “처럼 이중 자음이 든 표현은 순수 한글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가격, 임대료, 배당 등의 표현이 그렇습니다.한국어가 중국어와 일본어와 비교해서 다른 점이 이중 자음을 가짐으로써 이 특징은 서양권 언어의 자음 중복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조선 말의 선교사들이 한국인의 외국어 습득 능력에 놀라움을 표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로마자는 문자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형식이 아니라 문자를 긴 늙어서 사용합니다. 한 글자 한 글자를 죽 뻗고 씁니다. 이를 세종 대왕은 초성인 소리, 종성을 조합해서 표현하는 방법을 만들어 냈습니다. 오토 후미 표기의 훈민정음 방식으로 옆으로 뻗은 love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면 다음의 조합형 방식이 되요
rderㅸ
가로쓰기를 초성, 중성, 종성에 맞게 표현하면 윗글자가 되겠죠. 이렇게 소리에 대응하여 각 음에 맞는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이 훈민정음이 갖는 표현의 원칙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현재의 음운 이론에도 적용됩니다. 즉, 모음 하나(이중모음 포함)를 중심으로 하나의 음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자음을 초성과 종성에 필요에 따라 거듭 표현할 수 있던 것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사라지고 일본어 방식으로 바뀐다는 것입니다.
귀여워하다, 사랑스럽게 여기다.
귀여워하다, 사랑스럽게 여기다.
귀여워하다, 사랑스럽게 여기다.
귀여워하다, 사랑스럽게 여기다.
「ㄹ ㅂ-」
일본어 방식으로 자음 뒤에 모음”-“이나 “-(웃음)”를 추가하며 러브의 문자와 소리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방식이 올바른 것처럼 모방하게 되었습니다. 불과 2~30년 전까지는 외국인을 직접 만날 기회가 없어서 일본인 방식이 옳다고 생각했다. 외국인을 만나고 겪어 보면 milk이라는 단어를 “미로쿠” 하면 더 잘 알게 된 것입니다.이제 세계와 소통 시대에 우리는 그 방식이 얼마나 언어 표현 기술로 어리석고 있는지를 알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한글에도 영어 문자를 들여와서 쓰는 상황을 본것입니다. coffee를 “카 fl”라고 쓰게요. 이처럼 국적 불명의 표기가 되게 두는 것보다는 훈민정음 표기에서 외국어에 자연스러운 표기를 허용하면 되죠. 우리는 이름을 지을 때 한자의 한국식 발음으로 읽고 씁니다. 당연히 우리의 이름에는 이중 자음이 없습니다. 한국어 이름으로 붙이지 않는 한 받침에 이중 자음을 쓰지 않는 현상은 달라지지 않을까요. 그러나 여러분이 자신의 이름을 로마자로 쓸 때는 이 점에 대해서 고민하고 창의적인 이중 자음이 겹쳐소리도 만들어 낼 수 있고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